Pod는 kubectl create
가 아닌 kubectl run
.
단 YAML로 생성할 경우 kubectl apply
ㄱㄴ
-o yaml --dry-run=client
옵션주어진 object에 대한 구성을 생성하지만 이를 Kubernetes API server에 전송하는 게 아니라 stdout으로 출력한다. 근데이제 YAML 형식을 곁들인.
그래서 YAML을 일일이 손으로 작성하는 게 아니라
kubectl create namespace kakao **--dry-run=client -o yaml > kakao-ns.yml**
이런 식으로 리눅스의 redirection을 통해 YAML 파일을 작성할 수도 있다.
--edit
kubectl create --edit -f kakao-ns.yml
이렇게 하면 생성 전에 YAML을 편집할 수 있다. 편집을 끝내고 나오면 YAML 파일의 내용대로 생성된다.
그냥 했는데 vi로 됐다. 편집기를 따로 설정할 수도 있을 듯?